yum 이란 무엇인가?
yum (yellowdog update modified) 약자로 래드햇 계열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 하는 도구로 알고 있으면 되겠다.
우리가 잘 아는 rpm 명령어로 설치할때 발생하는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해 주는 관리 툴이다.
그렇다면, 패키지 의존성 문제가를 확인해보면...
패키지 의존성이란?
리눅스에서 패키지 설치할때, A패키지 설치할때, 참조되는 B를 먼저 설치해야하는 부분이다.
이것이 한두개의 의존성만 걸리면 심플한데, A->B-C->... 여러 참조가 걸려 오류가 나거나 처리가 번거롭다.
yum을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설치하고 rpm 명령어 처럼 사용하면 끝!!
yum 설치하기
apt install yum
yum 사용법
yum 이 설치되어 있다면 사용법은 너무 간단하다.
# 패키지 설치하기
yum install [패키지명]
ex) yum install mysql-commuity-server
# 패키지 업데이트
yum update [패키지명]
ex) yum update wget
# 패키지 삭제
yum remove [패키지명]
ex) yum remove wget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MySQL Windows 설치하기 (0) | 2023.11.07 |
---|---|
[Pycharm] 파이참(Pycharm) Terminal 접속 Error 해결 (0) | 2022.10.24 |
[DevOps] requirements.txt 활용한 가상환경 만들기 ( + 자주 쓰는 conda 명령어) (0) | 2022.09.11 |
[AWS]SSH로 EC2 인스턴스 접속하기 (Mac) (0) | 2022.03.05 |
[EC2]SSH 접속 에러 조치 방법 :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Mac) (0) | 2022.03.05 |